척추의 움직임 특징과 짝움직임에 대해서.

 

척추의 뼈운동형상학(osteokinematic)
움직임 굽힘과 폄(flexion and extension) 가쪽 굽힘(lateral flexion) 축돌림(axial-rotation)
움직임 면

시상면(saggital plane)

이마면(frontal plane) 수평면(horizontal plane)
돌림 축 수직축(acial rotation) 안가쪽축(medial-lateral axis) 앞뒤축(anterior-posterior axis)

 

척추는 세 가지 면에서 세 가지 축을 기준으로 굽힘, 폄, 가쪽 굽힘, 축돌림의 움직임을 할 수 있다. 학문적으로 이렇게 분류해놨는데 일상생활을 하는 중에는 모든 척추가 동시에 여러 움직임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책상 옆에 떨어진 볼펜을 주을 때를 생각해보면 우리가 단순히 앞으로 숙인다기보다는 숙이면서 동시에 옆으로 몸을 기울이고 약간 회전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운동학의 전문가들이 이런 현상에 이름을 붙였는데,

뉴만(Donald A. Neumann)은 "척추짝지음(spinal coupling)이라고 어떤 운동면에서 수행된 척추의 움직임은 대개 미세한 다른 운동면에서의 움직임과 자동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난다"라고 정의했고,

 

칼텐본(Freddy M. Kaltenborn)은 "결합된 움직임(Combine (bone) movements)이라고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면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뼈의 움직임(=기능적 움직임, Functional movement)" 정의했다.

 

또 뉴만은 척추짝지음의 원인으로 근육 작용이나 척추의 자세, 관절면이나 뼈, 관절의 형태 등을 언급했고 척추짝지음의 유형이 연구자마다 의견이 달라 어느 것이 맞다고 명확하게 하기 어렵지만 머리 목(head and neck) 영역에서는 비교적 일치된 의견을 보인다고 했다.

 

표 1. Lumbar spine coupled motions; A literature review with clinical implications, Peter Huijbregts, 2004

표 1은 허리의 짝움직임에 대한 내용으로 90년대 자료를 참고한 연구다.

표 2. 정형도수치료 진단학, David J. Magee, 2010

마찬가지로 허리의 짝움직임에 대한 내용으로 매기의 「정형도수치료 진단학」에는 이렇게 나와 있다(표 2). 학자들 주장들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 세 번째 항목에 Kaltenborn은 칼텐본 정형도수치료 척추편 최신판에 서술된 내용과 다르고 자세한 건 마지막에 적는다.


 

많이 알려진 결합된 움직임(Combine movements)의 유형은 그린만의 중위 역학, 비중위 역학과 칼텐본의 짝움직임, 비짝움직임이 있다. 그린만은 엉치뼈에 짝움직임의 개념을 쓰지만 칼텐본은 그렇지 않다. 이 밑으로는 칼텐본의 개념으로 설명하겠다.

greenmann Neutral Mechanics & Nonneutral Mechanics(Type 1 & Type 2)

Kaltenborn Coupled movements & Noncoupled movements

 

칼텐본 개념의 결합된 움직임은 짝움직임과 비짝움직임으로 나누는데,

① 짝움직임은 동작을 하기가 가장 쉬워서 움직임의 범위가 가장 크고, 움직임의 저항이 가장 적고, 끝 느낌이 가장 부드러운 결합된 움직임이다. 이 움직임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고 예를 들면 뒤에서 부르는 친구를 돌아보거나 책상 옆에 떨어진 연필을 주울 때 척추가 구부러지고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생각하면 된다.

Coupled movements : greatest range of motion, least resistance to movement, softest end-feel

 

② 비짝움직임 짝움직임보다 동작을 하기가 어려운데 움직임의 범위가 작고, 끝 느낌이 더 딱딱하게 나타나는 결합된 움직임이다. 돌림(rotation)과 가쪽 굽힘(lateral flexion)의 조합이 짝움직임과 반대로 구성된다.

Noncoupled movements : more resticted range of motion, harder end-feel

 

척추의 부위별 짝움직임의 유형은 아래와 같고 비짝움직임의 유형은 짝움직임의 반대다.

  위치 가쪽 굽힘과 돌림의 방향 기타
upper-Cx 영향 없음 반대 C0~C2
lower-Cx 동일 C2~T3
Tx 굽힘(kyphosis), 편안위치 동일  
폄(flattened or lordosis) 반대  
Lx (extension), 편안위치 반대  
굽힘(kyphosis) 동일  

상부 경추(upper cervical spine)는 목의 굽힘이든 폄이든 위치에 상관 없이 짝움직임, 비짝움직임의 유형이 동일하다. 만약 오른쪽 가쪽 굽힘과 왼쪽 돌림을 한다면 짝움직임으로 가장 큰 움직임 범위와 가장 적은 저항, 가장 부드러운 끝 느낌을 갖는다. 비짝움직임은 오른쪽 가쪽 굽힘과 오른쪽 돌림이다.

 

 

짝움직임, 짝운동, 짝동작, Coupled motion, Coupled movements는 같은 뜻으로 쓰인다.

+ Recent posts